동아문화 20(1982.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32 목록 Mong-Lyong Choi, 「On the Chinese Ko-halberd(과)」, 『동아문화』20, 1982.12 김원룡, 「한국 고고학의 발전1」, 『동아문화』20, 1982.12 이규성, 「주자의 한계를 통해 본 대진의 비판적 철학」, 『동아문화』20, 1982.12 왕치연, 「주역계사전요의」, 『동아문화』20, 1982.12 하운청, 「이의산의 영물시에 관한 소고」, 『동아문화』20, 1982.12 최정연, 「이번원고(상)」, 『동아문화』20, 1982.12 오태석, 「이백 고풍59수고」, 『동아문화』20, 1982.12 원종예, 「두보기행시의 서정성 연구(상)」, 『동아문화』20, 1982.12 Walter Leifer, 「과도기의 […]
동아문화 19(1981.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29 목록 최학근, 「한국어의 계통론에 관한 연구(기일)」, 『동아문화』19, 1981.12 이병한, 「파금(빠진)의 최근 문학활동」, 『동아문화』19, 1981.12 왕중, 「중국서도론」, 『동아문화』19, 1981.12 김승혜, 「유가적 인간상과 구약적 인간상:군자와 의인에 대한 종교학적 고찰」, 『동아문화』19, 1981.12 서경호, 「산해경에 나타난 신의 성격」, 『동아문화』19, 1981.12 민두기, 「무술개혁운동의 국제적 배경」, 『동아문화』19, 1981.12 차주환, 「두보의 시세계」, 『동아문화』19, 1981.12
동아문화 18(1981.08)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29 목록 Ngan Yuen-wan, 「Some Characteristics of Chinese Literary Criticism」, 『동아문화』18, 1981.08 Myung Chey, 「Military Organizations and Mass Mobilization in the Chinese Soviet Republic」, 『동아문화』18, 1981.08 Shim Jae-Ryong, 「A Study of Cheng:-The Cosmo-ethical Principle in the Confucian Metaphysics of Morality-」, 『동아문화』18, 1981.08 한요륭, 「한자동자이형지심토」, 『동아문화』18, 1981.08 이문웅, 「중앙아시아의 한국인 사회」, 『동아문화』18, 1981.08 최명, 「중국공산운동에 있어서 […]
제4회 <동분서주(東奔西走)>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Civitas Dei)의 함의-2022년 4월 28일 목요일 오후 4시)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동아문화연구소 동서교류 콜로키엄 동서를 분주하게 넘나드는 콜로키엄! 트랜스내셔널, 트랜스로컬, 트랜스컨티넨털 연구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을 동아문화연구소의 동서교류 콜로키엄 ‘동분서주’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동분서주는 전공의 칸막이를 해체하는 혁신적 시각과 동서양을 횡단하는 글로벌 시선으로 다양한 쟁점들을 다루게 될 것입니다. 많은 연구자들과 학생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제4회 일시 | 2022년 4월 28일 목 오후 4시 줌링크 | […]
제4회 <동분서주>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Civitas Dei)의 함의(22.04.28)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동아문화연구소 동서교류 콜로키엄 제4회 일시 | 2022년 4월 28일 목 오후 4시 줌링크 | https://snu-ac-kr.zoom.us/j/99206668565?pwd=NjR4MENUZjgyWnhCaHhQS1JQdFA1Zz09 제목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Civitas Dei)의 함의 발표 | 강상진 교수 (서울대 철학과) 토론 | 안재원 교수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구범진 교수 (서울대 동양사학과) 사회 | 장문석 교수 (서울대 서양사학과)
동아문화 17(1980.06)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28 목록 장기근, 「항전초기의 중국문예추향과 시가」, 『동아문화』17, 1980.06 김방한, 「한국어 계통연구 서설」, 『동아문화』17, 1980.06 이남영, 「풍우란과 그의 ”중국철학사 신편”」, 『동아문화』17, 1980.06 이병한, 「중공의 한자간화방안과 실천」, 『동아문화』17, 1980.06 정명환, 「졸라의 자연주의와 일본의 자연주의」, 『동아문화』17, 1980.06 李德金, 蔣忠義, 鄭甲堃, 「신안 해저 침몰선 내의 중국 자기」, 『동아문화』17, 1980.06 길승흠, 「미국정부의 대일점령정책상의 내분과 덧지노선」, 『동아문화』17, 1980.06
동아문화 16(1979.06)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27 목록 배성동, 「일본의 초기(1880년대) 정당발전」, 『동아문화』16, 1979.06 김학주, 「이소의 성격」, 『동아문화』16, 1979.06 조동원, 「엽적년보고」, 『동아문화』16, 1979.06 김시준, 「시경정변설고」, 『동아문화』16, 1979.06 박한제, 「남북조말-수초의 과도기적 사대부상」, 『동아문화』16, 1979.06 이병주, 「강녕자치실험현에 대하여」, 『동아문화』16, 1979.06
동아문화 15(1978.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26 목록 조병한, 「증국번의 경세 예학과 그 역사적 기능」, 『동아문화』15, 1978.12 關野雄, 李成珪, 「중국고고학의 현상」, 『동아문화』15, 1978.12 吳金成, 「일본에 있어서의 중국 명청시대 신사층연구에 대하여」, 『동아문화』15, 1978.12 佐藤誠三郞, 裵成東, 朴月羅, 「日本近代史硏究의 새로운 動向 -中村隆英編1997」, 『동아문화』15, 1978.12 김방한, 「알타이 제어와 한국어」, 『동아문화』15, 1978.12 죠셉 에쉐맄, 민두기, 최정연, 「미국에서의 신해혁명 연구동향」, 『동아문화』15, 1978.12 권덕주, 「고과화상(석도)화어록일화론고석」, 『동아문화』15, 1978.12
동아문화 14(1977.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25 목록 Ki-soo Paik, 「Reflections Art and the Tasks of Aesthetics in the Age of Technology」, 『동아문화』14, 1977.12 조동일, 「희극적 서사민요 연구」, 『동아문화』14, 1977.12 이기문, 「한국어와 알타이제어의 어휘 비교에 대한 기초적 연구」, 『동아문화』14, 1977.12 이병한, 「종영의 비평체예고」, 『동아문화』14, 1977.12 권태환, 「조선왕조시대 인구추정에 관한 일시론」, 『동아문화』14, 1977.12 이성규, 「전한열후의 성격」, 『동아문화』14, 1977.12 주봉규, 「일제하 소작쟁의운동의 […]
동아문화 13(1976.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24 목록 최승희, 「조선초기 언관에 관한 연구」, 『동아문화』13, 1976.12 이태진, 「조선전기의 향촌질서」, 『동아문화』13, 1976.12 이성무, 「조선전기의 신분제도」, 『동아문화』13, 1976.12 차주환, 「악장집연구」, 『동아문화』13, 1976.12 이해영, 「수치의 문화와 “죄의 문화”」, 『동아문화』13, 197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