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문화 11(1972.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22 목록 김방한, 「Altan Tobci 연구」, 『동아문화』11, 1972.12 김완진, 「형태론적 현안의 음운론적 극복을 위하여」, 『동아문화』11, 1972.12 이기문, 「한자의 석에 관한 연구」, 『동아문화』11, 1972.12 김용섭, 「한말.일제하의 지주제」, 『동아문화』11, 1972.12 한완상, 「한국에 있어서 지위불일치와 사회의식」, 『동아문화』11, 1972.12 민두기, 「청말강절철로분규와 신해혁명전야의 신사층 향방」, 『동아문화』11, 1972.12 민병수, 「이건창과 그 일문의 문학」, 『동아문화』11, 1972.12 차주환, 「백운사고」, 『동아문화』11, 1972.12
동아문화 10(1971.09)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21 목록 이두현, 「한국가면극-서평」, 『동아문화』10, 1971.09 김방한, 「팔사파문자 신자료」, 『동아문화』10, 1971.09 한영우, 「조선 초기 상급서리 [성중관]」, 『동아문화』10, 1971.09 장기근, 「이백의 우국정신」, 『동아문화』10, 1971.09 조동일, 「영웅의 일생, 그 문학사적 전개」, 『동아문화』10, 1971.09 차주환, 「당악대곡교석」, 『동아문화』10, 1971.09 최신호, 「공후인이고」, 『동아문화』10, 1971.09 구범모, 「개항전 이조정치질서의 환경적여건에 관한 고찰」, 『동아문화』10, 1971.09 공재석, 「갑골문과 은문화 약론」, 『동아문화』10, 1971.09 김방한, […]
동아문화 9(1970.05)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58 목록 이병근, 「경기지역어의 모음체계와 비원순모음화」, 『동아문화』9, 1970.05 장덕순, 서대석, 「제석본 풀이」, 『동아문화』9, 1970.05 김학주, 이경식, 「중.영 문학과 ”권선징악”」, 『동아문화』9, 1970.05 성백인, 「삼전도비 만주문」, 『동아문화』9, 1970.05 장덕순, 「설화문학의 의의와 방법」, 『동아문화』9, 1970.05 차주환, 「최자의 시평」, 『동아문화』9, 1970.05 장기근, 「예와 예교의 본질」, 『동아문화』9, 1970.05
동아문화 8(1968.07)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57 목록 이기문, 「계림유사의 재검토」, 『동아문화』8, 1968.07 김용섭, 「고종조의 균전수도문제」, 『동아문화』8, 1968.07 김방한, 「국어의 계통연구에 관하여」, 『동아문화』8, 1968.07 장덕순, 「이조초기의 설화」, 『동아문화』8, 1968.07 장기근, 「중국현대문학의 사상적선구」, 『동아문화』8, 1968.07 공재석, 「무자고」, 『동아문화』8, 1968.07 차주환, 「유협.종영이가적시관」, 『동아문화』8, 1968.07 이해영, 「한국가족형태의 한 연구-이천읍의 경우」, 『동아문화』8, 1968.07 구범모, 「한국선거와 정당유형」, 『동아문화』8, 1968.07
동아문화 7(1967.08)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56 목록 차주환, 「문심조룡소증(2)」, 『동아문화』7, 1967.08 김원룡, 「삼국시대의 개시에 관한 일고찰」, 『동아문화』7, 1967.08 장덕순, 「설화의 소설화」, 『동아문화』7, 1967.08 김학주, 「앵앵전으로부터 서상기에 이르기까지」, 『동아문화』7, 1967.08
동아문화 6(1966.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55 목록 장덕순, 「규장각도서 조선읍지소재 설화분류」, 『동아문화』6, 1966.12 김경동, 「근대화과정과 가치관연구의 과제」, 『동아문화』6, 1966.12 이남덕, 「단위 문제로 본 조사의 문법적 처리」, 『동아문화』6, 1966.12 허웅, 「서기 15세기 국어를 대상으로 한 조어법의 서술방법과 몇 가지 문제점」, 『동아문화』6, 1966.12 이병한, 「송시의 정치성」, 『동아문화』6, 1966.12 차주환, 「문심조룡소증(1)」, 『동아문화』6, 1966.12 안병희, 「부정격(Casus Indefinitus)의 정립을 위하여」, 『동아문화』6, 1966.12 차주환, 「송시의 […]
동아문화 5(1966.06)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54 목록 전광용, 「”상록수”고」, 『동아문화』5, 1966.06 김원룡, 「고미술에 있어서의 한국적 성격」, 『동아문화』5, 1966.06 장덕순, 「민족설화의 분류와 연구」, 『동아문화』5, 1966.06 이혜구, 「한국과 일본에 전래된 중국음악의 변화」, 『동아문화』5, 1966.06 조기준, 「한국기업가정신과 그 역사적 배경」, 『동아문화』5, 1966.06 송욱, 「일제하의 한국휴우머니즘비판」, 『동아문화』5, 1966.06 편집부, 「제4회 동양학 심포지움 개요」, 『동아문화』5, 1966.06 김철준, 「한국문화에 나타난 후진성에 대하여」, 『동아문화』5, 1966.06 […]
동아문화 4(1965.10)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53 목록 이만갑, 「”동아일보”와 ”해일신보”의 비교」, 『동아문화』4, 1965.10 김원룡, 「동양학심포지움속기록」, 『동아문화』4, 1965.10 김용덕, 「동학에서 본 서학」, 『동아문화』4, 1965.10 장덕순, 「고전문학에 나타난 대일감정」, 『동아문화』4, 1965.10 류홍열, 「근세 천주교도의 서양관」, 『동아문화』4, 1965.10 김원룡, 「삼강행실도간본고」, 『동아문화』4, 1965.10 김방한, 「삼전도비몽문에 관하여」, 『동아문화』4, 1965.10 고영복, 「도시와 농촌의 가치관의 비교」, 『동아문화』4, 1965.10 김경동, 「인간관계에 있어서의 유교가치관의 양태」, 『동아문화』4, 1965.10 고병익, […]
동아문화 3(1965.04)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42 목록 정양은, 「근대화의 심리학적 고찰」, 『동아문화』3, 1965.04 황성모, 「근대화의 제과제」, 『동아문화』3, 1965.04 정범모, 「문제모형으로 본 근대화의 개념」, 『동아문화』3, 1965.04 민석홍, 「유럽 근대화에 관한 일고찰」, 『동아문화』3, 1965.04 구범모, 「정치적 엘리뜨의 충원과 근대화 과정」, 『동아문화』3, 1965.04 박희범, 「제도변혁과 구조변혁」, 『동아문화』3, 1965.04
동아문화 2(1964.10)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31 목록 이만갑, 「현대 한국농촌계층의 실태」, 『동아문화』2, 1964.10 장기권, 「한어계사에 대하여」, 『동아문화』2, 1964.10 박종홍, 「한국사상에 나타난 인간의 존엄성」, 『동아문화』2, 1964.10 류홍열, 「한국사상에 끼친 천주교의 영향」, 『동아문화』2, 1964.10 홍이섭, 「한국사상과 서양근대사상」, 『동아문화』2, 1964.10 김원룡, 「한국고고학의 신자료 일이」, 『동아문화』2, 1964.10 김채윤, 「한국 도시사회의 계층구조」, 『동아문화』2, 1964.10 박준규, 「청일개전과 열국외교」, 『동아문화』2, 1964.10 고영복, 「중간계층의 문제」, 『동아문화』2, 196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