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문화 56(2018.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381120 목록 조남현, 「崔瓚植의 소설과 사회담론의 相補性 연구」, 『동아문화』56, 2018.12 양승국, 「‘역사 기록’에서 ‘역사 드라마’에 이르는 길: 조선 초기 건국 영웅들의 형상화와 관련하여」, 『동아문화』56, 2018.12 이영주, 「두시의 고체와 근체 융합 양상 고찰」, 『동아문화』56, 2018.12 안성두, 「대승불교에서 재가보살의 역할에 대한 검토」, 『동아문화』56, 2018.12 김재화, 「주희의 ‘格物致知’ 개념에 관한 소고」, 『동아문화』56, 2018.12 范永聰, 「「花瓶」?「打女」?香港漫畫《龍虎門》內的女角形象」, 『동아문화』56, 2018.12 […]
동아문화 55(2017.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332081 목록 양승국, 「판타지 드라마에서 주체와 존재의 문제: 텔레비전 드라마 , , 를 중심으로」, 『동아문화』55, 2017.12 임 혁, 「『反詩』 동인의 시적 지향과 형상화에 대한 고찰: 김창완, 김명인, 정호승의 시를 중심으로」, 『동아문화』55, 2017.12 宋硯軒, 苑英奕, 「숨을 곳도 없는 실향민: 황석영 초기 소설 중 “귀속” 의미에 대한 연구」, 『동아문화』55, 2017.12 류창교, 「《詩經》의 즐거움의 세계」, 『동아문화』55, 2017.12 […]
동아문화 54(2016.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295263 목록 양승국, 「1960년대식 애정표현의 에피스테메: 영화 (1966)의 애정 화행(speech act)을 중심으로」, 『동아문화』54, 2016.12 李鮮馥, 「雷斧考 補遺」, 『동아문화』54, 2016.12 範永聰, 「韓國古代文人作品中的屈原意象-以《東文選》爲例」, 『동아문화』54, 2016.12 박미라, 「소학과 대학, 타율적 윤리와 자율적 윤리」, 『동아문화』54, 2016.12 이해임, 「이황(李滉) 철학에서 예(禮)・악(樂)의 관계와 악론(樂論)의 특징: 《통서해(通書解)》, 「악상(樂上)」과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을 중심으로」, 『동아문화』54, 2016.12 박지현, 「玉洞 李漵의 리기심성론의 특징과 한계」, 『동아문화』54, 2016.12 편집부, […]
동아문화 53(2015.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248553 목록 李賢熙, 「근대 이행기의 語學・文法・語法・文典・語典」, 『동아문화』53, 2015.12 박선희, 고정, 「대조분석을 통한 중한번역 기법에 대한 연구」, 『동아문화』53, 2015.12 등미령, 「이국 인물군상에서 보이는 계급대립 양상: 최서해의 중국동북지방제재소설을 중심으로」, 『동아문화』53, 2015.12 金鶴哲, 尹美花, 「李陸史 詩의 은유적 장치에 대한 고찰」, 『동아문화』53, 2015.12 장경렬, 「노근리 사건의 문학적 형상화가 갖는 의의를 찾아서: 정은용, 제인 앤 필립스, 이현수의 소설 읽기」, […]
동아문화 52(2014.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229612 목록 장경렬, 「‘순수의 노래’에서 ‘경험의 노래’로: 함혜련의 시 세계에 대한 하나의 조명」, 『동아문화』52, 2014.12 양승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시간, 기억, 존재의 의미」, 『동아문화』52, 2014.12 趙潔, 苑英奕, 「도덕적 타락과 자의식 성장의 이중적 서사:「감자」에 나타난 복녀의 재조명」, 『동아문화』52, 2014.12 張國強, 鄭傑, 「중국에서의 한국학 연구 현황과 전망」, 『동아문화』52, 2014.12 이미옥, 「한·중 저항시 비교 연구: 김지하의 「황톳길」과 쟝허(江河)의 […]
동아문화 51(2013.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116071 목록 장경렬, 「예도(藝道)로서의 시조 창작-월하 이태극의 시 세계」, 『동아문화』51, 2013.12 원영혁·권혁철, 「중국의 한국문학 교수현황에 대한 연구, -요녕성 대학을 케이스로」, 『동아문화』51, 2013.12 고성애, 「박종홍의 한국불교사상에 대한 연구」, 『동아문화』51, 2013.12 전형준, 「루쉰 소설의 페미니즘적 해석에 대한 재검토」, 『동아문화』51, 2013.12 김은영, 「루쉰은 왜 허구적 글쓰기를 그만두었는가?-「복을 비는 제사」 그리고 서사와 공감의 실패」, 『동아문화』51, 2013.12 이윤희, 「양전성, […]
동아문화 50(2012.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105986 목록 임홍빈, 「고구려 지명 ‘혈구군(穴口郡)’의 ‘구(口)’에 대하여」, 『동아문화』50, 2012.12 양승국, 「드라마의 소통형식과 관객의 존재론」, 『동아문화』50, 2012.12 柳素真, 「高麗時期的“東坡熱”與李奎報詩歌」, 『동아문화』50, 2012.12 范永聰·區顯鋒, 「韓國古代石戰探析」, 『동아문화』50, 2012.12 Hyun Bok Lee and Eunji Kang, 「Japanese Speakers’ Perception of Syllable-nal Stops and Inter-vocalic Consonant Clusters」, 『동아문화』50, 2012.12 안영희,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낭독과 讀譜」, 『동아문화』50, 2012.12 묘연창, 「중국어 작문 […]
동아문화 49(2011.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89520 목록 김광일, 「貞觀之治의 이론서 《群書治要》」, 『동아문화』49, 2011.12 이영주, 「두보 연작시의 장법 연구」, 『동아문화』49, 2011.12 양승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재현 형식과 영상 도식(Image Schema)」, 『동아문화』49, 2011.12 이현복,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동아문화』49, 2011.12 팽철호, 「한자어의 오용에 대하여」, 『동아문화』49, 2011.12 허성도, 「에 나오는 ‘能, 可, 可以’의 가능 조건에 대하여」, 『동아문화』49, 2011.12 묘연창, 「대학수학능력시험 중국어 I […]
동아문화 48(2010.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77519 목록 金衡鍾, 「1911年의 汪精衛」, 『동아문화』48, 2010.12 宋 眞, 「唐代 ‘胡商’의 中國 內地 活動과 蕃坊」, 『동아문화』48, 2010.12 金斗鉉, 「淸末(1902~1911) ‘八省土膏統捐’의 실시와 그 의미」, 『동아문화』48, 2010.12 尹炯振, 「南京國民政府의 首都建設과 近代的 都市計劃」, 『동아문화』48, 2010.12 편집부, 「彙報 외」, 『동아문화』48, 2010.12
동아문화 47(2009.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69474 목록 許成道, 「孟子 ‘亦’의 용법에 대하여」, 『동아문화』47, 2009.12 金衡鍾, 「淸代 後期 江北社會의 이해」, 『동아문화』47, 2009.12 朴敏洙, 「『儒林外史』를 통해본 淸初 江南 지역의 士人과 商人」, 『동아문화』47, 2009.12 琴章泰, 「한원진(韓元震)의 『장자』해석과 비판논리」, 『동아문화』47, 2009.12 편집부, 「彙報 외」, 『동아문화』47, 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