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문화 36(1998.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49   목록 류창교, 「교양 중국어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동아문화』36, 1998.12 김영우, 「다산 정약용의 역학사상과 역리사법」, 『동아문화』36, 1998.12 원정식, 「대학부설 중국어 연구소의 과제와 방향」, 『동아문화』36, 1998.12 김승욱, 「북경정부의 태환정지령(1916년 5월)과 상해 중국은행의 대응」, 『동아문화』36, 1998.12 이준갑, 「옹정년간 사천의 토지장량과 그 의의」, 『동아문화』36, 1998.12 나선희, 「동양학 연구-일본 동경대를 통한 단상」, 『동아문화』36, 1998.12 신정근, 「문헌 번역의 엄밀성을 […]

동아문화 35(1997.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48   목록 전인갑, 「1920년대 전반기 상해 노동운동과 지역사회의 대응」, 『동아문화』35, 1997.12 이종민, 「욱달부의 소설세계」, 『동아문화』35, 1997.12 심형철, 「중국 “근대”소설론과 오사기 소설론의 관계 양상에 관한 시론」, 『동아문화』35, 1997.12 이문규, 「고대 중국 “천문” 해석의 원리」, 『동아문화』35, 1997.12 김형종, 「청말 신정기 강소성의 재정문제와 신사층」, 『동아문화』35, 1997.12  

동아문화 34(1996.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47   목록 이주노, 「노신의 」, 『동아문화』34, 1996.12 백영길, 「장애령 소설의 정욕과 허무의식」, 『동아문화』34, 1996.12 임춘성, 「중국근현대문학발전적윤곽화동력」, 『동아문화』34, 1996.12 고원동, 「미완성적현대성」, 『동아문화』34, 1996.12 김시준, 「시론중한양국신문학적기점문제」, 『동아문화』34, 1996.12 박재우, 「중국현대 한인제재소설의 발전추세 및 반영된 한인의 문화적 처경고(1917-1949)」, 『동아문화』34, 1996.12 오문미, 「중사현실화역사」, 『동아문화』34, 1996.12 여상평, 「어언혁명여현대성」, 『동아문화』34, 1996.12 봉세휘, 「윤함구문학적논쟁, 비평화문론」, 『동아문화』34, 1996.12 조 걸, 「한국어・만주어 모음조화 […]

동아문화 33(1995.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46   목록 최 건, 「한한공간방위사적은유산론」, 『동아문화』33, 1995.12 주수동, 「중국 현대 보수주의 문화사조에 대한 새로운 인식」, 『동아문화』33, 1995.12 김원동, 「중국 중세 선경설화의 전개(1)」, 『동아문화』33, 1995.12 전이군, 「현대 중국인 정신사의 한 측면」, 『동아문화』33, 1995.12 宮本一夫, 「環渤海地域의 新石器文化」, 『동아문화』33, 1995.12 민두기, 「신해혁명이전시기지손중산여양임공」, 『동아문화』33, 1995.12 이현복, 성백인, 「라후어(Lahu)의 언어학적 연구」, 『동아문화』33, 1995.12 조동일, 「근대 극복의 과제와 한・일 학문」, […]

동아문화 32(1994.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45   목록 임효재, 「한・일 문화교류사의 새로운 발굴자료」, 『동아문화』32, 1994.12 로버트 헤겔, 서경호, 「중국고전소설의 연구개황」, 『동아문화』32, 1994.12 박소현, 「위진남북조 지괴의 서사적 특수성 분석」, 『동아문화』32, 1994.12 이영주, 「두시에 보이는 두보의 공간관과 시간관, 그리고 그것들과 두시 풍격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 『동아문화』32, 1994.12 서 개, 「근십년래중국명청사연구적회고여전망」, 『동아문화』32, 1994.12  

동아문화 31(1993.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44   목록 吉田敦彦, 「Georges Dumezilの硏究に照らして見た, スキュタイ, 韓半島, および日本の神話の關係」, 『동아문화』31, 1993.12 서대석, 「한국신화와 만족신화의 대비」, 『동아문화』31, 1993.12 악대운, 「중국홍수신화-대우치수」, 『동아문화』31, 1993.12 주정화, 「중국신화적문아화-굴원초사」, 『동아문화』31, 1993.12 탕일개, 「위서중적창세신화」, 『동아문화』31, 1993.12 김영화, 「신화성사삼측」, 『동아문화』31, 1993.12 이복청, 「사일신화비교연구」, 『동아문화』31, 1993.12 정규복, 「동북아 비교신화학 국제학술대회」, 『동아문화』31, 1993.12 왕효렴, 「대승-서왕모적원상」, 『동아문화』31, 1993.12 황패강, 「“야래자” 설화의 소설적 변용」, 『동아문화』31, 1993.12  

동아문화 30(1992.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43   목록 Min Tu-ki, 「Sun Yat-sen in Korea: Korean View of Sun Yat-sen’s Idea and Activities in 1920s」, 『동아문화』30, 1992.12 김종미, 「현대유가의 천인관계론과 문학사상」, 『동아문화』30, 1992.12 권응상, 「명대 서위의 반복고론 연구」, 『동아문화』30, 1992.12 박근칠, 「당 전기 호등제 운용원칙과 그 변용」, 『동아문화』30, 1992.12 김의진, 「노사 초기장편소설 연구」, 『동아문화』30, 1992.12 김은희, 「1920년대 여성작가의 소설에 드러난 “결혼”과 […]

동아문화 29(1991.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41   목록 강춘화, 「현대 중국 철학의 백가쟁명」, 『동아문화』29, 1991.12 이종한, 「한유 산문의 비유 수사에 관하여」, 『동아문화』29, 1991.12 조동일, 「중국문학사 서술의 경과와 문제점」, 『동아문화』29, 1991.12 김호동, 「좌종당의 신강원정과 이슬람 정권의 붕괴」, 『동아문화』29, 1991.12 보리스 리보비치 리프찐, 「소련의 중국학 연구 근황」, 『동아문화』29, 1991.12 박   석, 「소강절 시론의 도학적 특색」, 『동아문화』29, 1991.12 송용준, 「북송중기시연구」, 『동아문화』29, 1991.12 주봉규, […]

동아문화 28(1990.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40   목록 서원화, 「중국의 인간학에 관하여」, 『동아문화』28, 1990.12 민두기,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구간도서 중국근현대관계 특이서목 및 해제」, 『동아문화』28, 1990.12 송영배, 「서양사상의 충격과 중국현대철학의 생성과 발전의 문제」, 『동아문화』28, 1990.12 김방한, 「『동아문화』 연구의 회고와 전망」, 『동아문화』28, 1990.12 갈영진, 「“청대 실학사조의 역사적 변천”」, 『동아문화』28, 1990.12  

동아문화 27(1989.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39   목록 김진명, 「중국의 친족조직의 제양상과 조상숭배에 대한 일고찰」, 『동아문화』27, 1989.12 김학주, 「조선간 고」, 『동아문화』27, 1989.12 김학주, 「조선간 간설」, 『동아문화』27, 1989.12 谷口明夫, 「당력고」, 『동아문화』27, 1989.12 谷口明夫, 「당력고」, 『동아문화』27, 1989.12 홍인표, 「당대문학의 시기구분 문제」, 『동아문화』27, 1989.12 윤찬원, 「에 있어서 도가적 계기와 도교적 계기」, 『동아문화』27, 198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