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문화 1(1963.09)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20 목록 김방한, 「Altai어에 있어서의 보충법에 관한 고찰」, 『동아문화』1, 1963.09 이해영, 「한국인 출생률에 관한 삼개의 사례조사」, 『동아문화』1, 1963.09 이기문, 「십삼세기 중엽의 국어 자료」, 『동아문화』1, 1963.09 김원룡, 「동아문화연구소 소개」, 『동아문화』1, 1963.09 김원룡, 「김해무계리지석묘의 출토품」, 『동아문화』1, 1963.09 한우근, 「개국후 일본인의 한국침투」, 『동아문화』1, 1963.09
제3회 <동분서주> : 유럽과 국가-상징적 지배의 정치( 21.12.03)
동아문화연구소 동서교류 콜로키엄 제3회 일시 | 2021년 12월 3일 금 오후 3시 줌링크 | https://snu-ac-kr.zoom.us/j/86703497947?pwd=amlJbkZnNFFtNGhEWVVpWENzNEc1Zz09 제목 | 유럽과 국가: 상징적 지배의 정치 발표 | 조홍식 교수 (숭실대 정치외교학) 토론 | 신종훈 교수 (경상대 사학), 구범진 교수 (서울대 동양사학) 사회 | 이정훈 교수 (서울대 중어중문학)
제2회 <동분서주> : 서양 정치문화의 전파와 동양의 수용-‘공화’제도의 수용과 ‘공적인 것’ 인식 사이의 괴리(21.11.05)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동서교류 콜로키엄 제2회 동분서주 2021년 11월 5일 금 오후 3시 줌링크:https://snu-ac-kr.zoom.us/j/82778127062?pwd=TUxXZ0dGOE5MRnZSUWIrQXJEVjhTUT09 제목 | 서양 정치문화의 전파와 동양의 수용-‘공화’제도의 수용과 ‘공적인 것’ 인식 사이의 괴리- 발표 | 신동규 교수 (창원대 사학과) 토론 | 권윤경 교수 (서울대 서양사학과), 이예안 교수 (한림대 한림과학원) 사회 | 홍종욱 교수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제1회 <동분서주> : 계몽사상과 유교문명(21.10.01)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동서교류 콜로키엄 제1회 2021년 10월 1일 금 오후 3시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5361169056?pwd=RE8wekZMUUNmcWhSMjNraXZZWU5qQT09 제목 | 계몽사상과 유교문명: 볼테르, 몽테스키외, 비코의 중국관을 중심으로 발표 | 임동현 교수 (신한대 리나시타 교양대학) 토론 | 이정훈 교수 (서울대 중어중문학), 김민철 (성균관대 사학) 사회 | 장문석 교수 (서울대 서양사학)
제2회 <아시아의 목소리> : 다큐 인사이트 <붉은 자본주의>의 막전막후 -한국 사회의 중국 인식과 지식 생산·유통-“(21.10.21)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동아문화연구소 제2회 < 아시아의 목소리 > -일시: 2021년 10월 21일 목요일 오후 3시 -제목: 다큐 인사이트〈붉은 자본주의〉의 막전막후 – 한국 사회의 중국 인식과 지식 생산ㆍ유통 -줌 링크: https://snu-ac-kr.zoom.us/j/82688187095?pwd=VWJoNW1qUXZQZW9ER1VESFAvSXpDZz09 -발표: 김종석 (KBS 다큐 인사이트 PD) -패널: 박민희 (한겨레신문 기자), 김진공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이유정(서울대 중어중문학과 학부생) -사회: 이정훈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문의: donga_studies@snu.ac.kr
제1회 <아시아의 목소리> 한일 대학생의 허심탄회(21.09.17)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제1회 일시: 2021년 9월 17일 금요일 오후 3시 제목: 한일 대학생의 허심탄회 줌 링크: https://snu-ac-kr.zoom.us/j/89207275023?pwd=cGFqb0lJeWVqMUxsSHpQTlhSNUc1dz09 발표: 일본 히토쓰바시(一橋) 대학 사회학부 학생 아사쿠라 기미카(朝倉希実加), 이상진(李相眞), 우시키 미쿠(牛木未来), 오키타 마이 (沖田まい), 구마노 고에이(熊野功英) 히토쓰바시 대학 사회학부 준교수 가토 게이키(加藤圭木) 토론: 서울대학교 학생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동아문화연구소의 유튜브 채널이 개설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동아문화연구소의 유튜브 채널이 만들어졌습니다. 이제는 지난 콜로키움도 모두 유튜브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얼마든지 쉽게 다시 볼 수 있게되었습니다.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채널 URL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UQGNa9OOmp6tFyiXqaqGKw
제3회 <동분서주(東奔西走)> : 유럽과 국가-상징적 지배의 정치- 2021년 12월 3일 금요일 오후 3시)
동아문화연구소 동서교류 콜로키엄 동분서주 東奔西走 매월 첫째 주 금요일, 동서를 분주하게 넘나드는 새로운 콜로키엄이 찾아갑니다! 인문학연구원 동아문화연구소가 트랜스내셔널, 트랜스로컬, 트랜스컨티넨털 연구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을 동서교류 콜로키엄 ‘동분서주’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동분서주는 게토화 된 전공의 칸막이를 해체하는 혁신적 시각과 동서양을 횡단하는 글로벌 시선으로 다양한 쟁점들을 다루게 될 것입니다. 동분서주에 많은 연구자들과 학생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제2회 <아시아의 목소리> (21.10.21)
■ 일시: 2021년 10월 21일 목요일 오후 3시 ■ 제목: 다큐 인사이트〈붉은 자본주의〉의 막전막후 – 한국 사회의 중국 인식과 지식 생산ㆍ유통 -발표: 김종석 (KBS 다큐 인사이트 PD) -패널: 박민희 (한겨레신문 기자), 김진공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이유정(서울대 중어중문학과 학부생) -사회: 이정훈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제2회 <동분서주(東奔西走)> : 서양 정치문화의 전파와 동양의 수용-‘공화’제도의 수용과 ‘공적인 것’ 인식 사이의 괴리-2021년 11월 5일 금요일 오후 3시)
동아문화연구소 동서교류 콜로키엄 동분서주 東奔西走 매월 첫째 주 금요일, 동서를 분주하게 넘나드는 새로운 콜로키엄이 찾아갑니다! 인문학연구원 동아문화연구소가 트랜스내셔널, 트랜스로컬, 트랜스컨티넨털 연구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을 동서교류 콜로키엄 ‘동분서주’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동분서주는 2021학년도 제2학기부터 매월 첫째 주 금요일에 개최됩니다. 게토화 된 전공의 칸막이를 해체하는 혁신적 시각과 동서양을 횡단하는 글로벌 시선으로 다양한 쟁점들을 다루게 될 동분서주에 많은 연구자들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