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문화 46(2008.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56076   목록 許成道, 「孟子疑義擧例⑵」, 『동아문화』46, 2008.12 李沅俊, 「中華人民共和國 建國 前後 中國共産黨의 少數民族政策」, 『동아문화』46, 2008.12 李細珠, 「新世紀以來中國大陸學界晚清政治史研究的新趨向」, 『동아문화』46, 2008.12 세오 다쓰히코, 최재영, 「中國歷代都市圖의 變遷」, 『동아문화』46, 2008.12 편집부, 「彙報」, 『동아문화』46, 2008.12 편집부, 「2008 기증도서」, 『동아문화』46, 2008.12  

동아문화 45(2007.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47024   목록 金衡鍾, 「淸代國家權力의 性格」, 『동아문화』45, 2007.12 張海鵬, 「近代中國曆史發展的特點與轉折」, 『동아문화』45, 2007.12 戚學民, 「論阮遠《儒林傳稿》對李元度《國朝先正事略》的影響」, 『동아문화』45, 2007.12 於振波, 「東海郡吏員構成與兩漢文吏」, 『동아문화』45, 2007.12 편집부, 「彙報」, 『동아문화』45, 2007.12 편집부, 「2007년 3월 이후 기증도서 외」, 『동아문화』45, 2007.12  

동아문화 44(2006.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38389   목록 吳台錫, 「《文心雕龍ㆍ情采》辨釋」, 『동아문화』44, 2006.12 宋龍準, 「杜審言詩硏究」, 『동아문화』44, 2006.12 이영주, 「압운과 장법의 상관성 고찰」, 『동아문화』44, 2006.12 정진걸, 「白居易詩硏究」, 『동아문화』44, 2006.12 柳種睦, 「潁州ㆍ揚州 시기의 東坡詞」, 『동아문화』44, 2006.12 허성도, 「〈孟子〉의 해석과 字義에 대한 몇 가지 문제」, 『동아문화』44, 2006.12 林月恵, 「羅整菴与李退渓的理気論」, 『동아문화』44, 2006.12 琴章泰, 「『周易四箋』과 정약용의 易해석 방법」, 『동아문화』44, 2006.12 岳明君, 「试析近代中国新型知识分子群体的形成特征」, 『동아문화』44, 2006.12 편집부, 「2006년 […]

동아문화 43(2005.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32147   목록 편집부, 「2005년 3월 이후 기증도서목록」, 『동아문화』43, 2005.12 편집부, 「彙報」, 『동아문화』43, 2005.12 금장태, 「『醇言』과 栗谷의 老子 이해」, 『동아문화』43, 2005.12 손위평, 「儒家价値觀及其現代的轉換」, 『동아문화』43, 2005.12 김월회, 「말 닦기와 뜻 세우기[修辭立其誠](1) – 고대 중국인의 수사 담론과 그 저변」, 『동아문화』43, 2005.12 이창숙, 「중국 고전극의 “비극” 연구 현황과 전망」, 『동아문화』43, 2005.12 원종례, 「程嘉燧 詩의 淸趣 – 性靈인가? 神韻인가?」, […]

동아문화 42(2004.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27023   목록 편집부, 「2004년 기증도서목록」, 『동아문화』42, 2004.12 편집부, 「彙 報」, 『동아문화』42, 2004.12 침청송, 「明末淸初耶소會士來華外推策略哲學評析」, 『동아문화』42, 2004.12 Martin Lu, 「Confucius’ Spitituality in the Analects: A Zen, Psychoanalytic, and Postmodern Hermeneutics」, 『동아문화』42, 2004.12 송영배,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가 지닌 기본 특징 –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의 사상을 중심으로」, 『동아문화』42, 2004.12 조정은, 「순자 음악론에 나타난 음악의 의의와 작용」, 『동아문화』42, 2004.12 장원태, […]

동아문화 41(2003.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23042   목록 편집부, 「서 평」, 『동아문화』41, 2003.12 Wai-lim Yip, 「Why Daoism Today?」, 『동아문화』41, 2003.12 섭금방, 「당대 중국 마르크스주의철학 연구의 회고와 전망」, 『동아문화』41, 2003.12 팽 봉, 「장자와 혜시의 호량의 논변에서 본 철학의 근본」, 『동아문화』41, 2003.12 김도일, 「孟子의 感情모형 – 側隱之心은 왜 兼愛와 다른가?」, 『동아문화』41, 2003.12 장원태, 「전국시대 본성론 형성의 배경」, 『동아문화』41, 2003.12 금장태, 「茶山의 『孟子』해석과 […]

동아문화 40(2002.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9399   목록 편집부, 「애증도서목록」, 『동아문화』40, 2002.12 편집부, 「휘 보」, 『동아문화』40, 2002.12 김월회, 「세계관이 된 진화론-진화론의 중국적 변용 고」, 『동아문화』40, 2002.12 홍상훈, 「중평 홍루몽 평론」, 『동아문화』40, 2002.12 전형준, 「무협소설을 보는 두 개의 시각에 대하여」, 『동아문화』40, 2002.12 원지연, 「니토베 이나조와 오리엔탈리즘」, 『동아문화』40, 2002.12 금장태, 「중용의 체제와 도의 기본구조-다산과 오규 소라이(적생조래)의 중용 해석」, 『동아문화』40, 2002.12  

동아문화 39(2001.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52   목록 박 훈, 「막말월전번의 막정개혁운동에 대한 일고찰」, 『동아문화』39, 2001.12 박수철, 「실정·전국시대 과 《대승원사사잡사기》」, 『동아문화』39, 2001.12 패일명, 「장속어당작문학: 논중국통속소설적유전여하확전한국화일본적문학범주」, 『동아문화』39, 2001.12 김영지, 「목련희 형성의 매카니즘」, 『동아문화』39, 2001.12 박한제, 「북위의 대민정책과 균전제」, 『동아문화』39, 2001.12 최진묵, 「한대 수술학 부호체계의 성립과 그 활용」, 『동아문화』39, 2001.12 이남종, 「소식과 여성」, 『동아문화』39, 2001.12  

동아문화 38(2000.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51   목록 금장태, 「성호 이익의 서학인식」, 『동아문화』38, 2000.12 허남진, 「고대 유가에 나타난 인간의 특성과 이상 사회 –에서 로 이르는 기나긴 여정-」, 『동아문화』38, 2000.12 금장태, 이용주, 「고대 유교의 예론와 국가 제사」, 『동아문화』38, 2000.12 편집부, 「수증도서목록」, 『동아문화』38, 2000.12 박락규, 서진희, 「유가의 예술정신과 중국문화」, 『동아문화』38, 2000.12 편집부, 「휘보」, 『동아문화』38, 2000.12  

동아문화 37(1999.12)

링크: http://lps3.www.dbpia.co.kr.libproxy.snu.ac.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007750   목록 금장태, 「와 퇴계의 《대학》체계 인식」, 『동아문화』37, 1999.12 오금성, 「명말청초의 사회변화와 도시사회-경덕진과 그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동아문화』37, 1999.12 박한제, 「북위 균전제성립의 전제-정복군주의 자원확보책과 독과제-」, 『동아문화』37, 1999.12 원지연, 「다이쇼 데모크라시기 내무관료의 「농촌문제」인식-야스이 에이지(안정영이)의 경우-」, 『동아문화』37, 1999.12